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정봉주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얘기부터 해볼게요. 어제는 심한 말을 여러 차례 하더니 오늘은 바로 사과 방송을 했어요. <br> <br>공격 대상이 친정이라던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를 향했기 때문에 더 논란이 커졌는데, 먼저 문제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. <br><br><br> <br>[정봉주 /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(어제, 출처: BJ TV)] <br>당신들 이번 선거기간에 저에 대해서 모략하고 음해하고 저를 시정잡배 ○쓰레기로 취급하고 이 씨, 윤 씨, 양 씨, 너희 나 누군지 아직 잘 몰라? 정봉주야.<br> <br>Q. 그런데 오늘 사과 방송을 자세히 들어보면 사과라고 하기에도 조금 헷갈리는 것 같아요. <br> <br>조금 전 세 명을 언급했습니다. 이 씨는 이해찬 대표, 윤 씨는 윤호중 사무총장, 양 씨는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을 언급한 걸로 정치권은 해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오늘 사과 방송에서 세 사람 중 한 명을 잘못 얘기했다면서 정정했습니다. 그러니까 사과 방송이라기보다 오히려 정정 방송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<br> <br>[정봉주 / 열린민주당 최고위원 (오늘, 출처: BJ TV)] <br>무조건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 세 분 성을 말씀드렸는데 윤을 제가 잘못 얘기했어요. 더불어시민당에 있는 김모 분입니다. <br> <br>Q. 그러면 더불어시민당에 있다는 김모 분, 저 분은 누굽니까? <br> <br>김대중 전 대통령 아들, 김홍걸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후보를 언급한 것으로 보입니다. 김 후보는 최근에도 열린민주당 비판에 앞장섰었죠. <br><br><br><br>김 후보는 오늘도 이제 욕설에 막말까지 한다면서 이런 험한 말 내뱉는 분이 대통령을 지키겠다고 하면 과연 도움이 되겠냐, 이렇게 받아쳤습니다. <br> <br>Q. 보도 보니까 열린민주당 지지율이 점점 빠진다, 이런 내용이 있던데, 그 위기감 때문에 이렇게 말이 점점 거칠어지는 걸까요? <br><br>지금 보시는 것처럼 더불어시민당과 열린민주당은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재입니다. 한 쪽의 지지율이 오르면 다른 쪽은 빠지게 돼 있는 거죠. <br> <br>지지층이 겹치지 때문인데, 이틀 뒤에도 둘 중 한 쪽만 웃을 가능성이 큽니다. 여권 입장에선 총선 이후 지지층의 균열을 수습하는 게 상당한 숙제가 될 것 같습니다. 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넘어가보겠습니다. 서울 강남의 한 복지관이 주민에게 보낸 안내문이 논란이에요. 1번만 찍어라, 이렇게 보냈다는데 이게 사실입니까? <br> <br>분명 문구는 그렇게 돼있습니다. 사전투표를 한 10일 복지관에서 관내 장애인 분들에게 소포를 보냈는데, 거기엔 손 세척제, 마스크와 함께 투표 요령을 적은 안내문이 있었습니다. 지금 보시는 것처럼 '기표소에 들어가서 도장을 1번만 찍으세요.' 이렇게 적었습니다. <br> <br>Q. 저게 1번만 찍으세요, 인지 아니면 한번만 투표를 하라는 건지, 조금 애매하네요. <br> <br>복지관은 한번만 찍으세요, 이렇게 해명하고 있는데, <br><br><br><br>다만 미래통합당에선 이 복지관의 운영비를 서울시와 강남구청이 100% 지원하는데, 서울시장과 강남구청장 모두 민주당 소속인 만큼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, 이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선거 막판이 되면 꼭 어르신들 투표 폄하 논란이 생겨요. 이번에도 어김없이 등장했다면서요? <br> <br>네 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남병의 김한규 후보 캠프 채팅방에서 논란이 됐었는데, 거기에 보면 행동강령에 '만약 부모님이나 어르신들이 2번 후보에게 마음이 있다면 투표를 안 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, <br><br>이렇게 적은 뒤 설득 방법을 예로 들었습니다. "코로나가 매우 위험하니 밀폐된 투표장에 가지 마시라, 건강은 내일이 없지만 투표는 다음에 얼마든지 할 수 있다" 이런 식으로 설득하라는 겁니다. <br> <br>Q. 이게 사실이라면 논란이 커지겠는데요. <br><br><br><br>김한규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원이 쓴 게 아니라면서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Q. 이번엔 비례위성정당 때문에 선거법을 위반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면서요? <br> <br>먼저 오늘 발언부터 들어보시죠. <br> <br>[김영주 / 더불어민주당 서울 영등포갑 후보] <br>지역구 의원도 더불어(민주당) 찍고, 비례도 더불어(시민당) 찍으면 되기 때문에 저희는 '더불어, 더불어' 같이 이렇게 선거운동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후보자는 다른 정당의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데, 많은 후보들이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엮어서 선거운동을 하고 있죠. <br>민주당은 기자들에게 김영주 후보 발언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미래통합당 김수민 후보도 사전투표 때 비례정당을 같이 홍보했다가 논란이 되자 삭제했는데, <br><br><br><br>오늘의 한마디는 '여야의 공통점은 논란 뒤 삭제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Q. 괜히 몇 표 더 얻으려고 선거법 어겼다가 당선 후 재판 치르느라 의정활동 제대로 못하는 경우 많았습니다. 정도를 걸으시길 바립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